성원대치2단지 정비조합 해산 이슈, 180억 원 채무 해결 방법은?

성원대치2단지 정비조합 해산과 채무 문제, 해결의 방향성은? 건설·부동산 전문가 김철웅 변호사의 인사이트를 정리했습니다.
성원대치2단지 정비조합 해산 이슈, 180억 원 채무 해결 방법은?

1. 정비조합 채무 논란, 슈가스퀘어의 솔루션은?

김철웅 변호사, 땅짚Go 인터뷰 진행

최근 정비조합 관련 법적 분쟁이 늘어 많은 조합원들이 법적 리스크를 직면하고 있습니다. 특히, 조합 해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채무 문제는 조합원들에게 큰 부담이 됩니다. 이에 대한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법률 전문가의 조언이 필수죠.

부동산·건설 전문 매체 땅짚Go에서 법무법인 슈가스퀘어의 김철웅 변호사의 인터뷰가 실렸습니다. 김 변호사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 리스크관리위원회 외부위원을 역임하고, 신림10구역 재건축, 광명 하안주공6·7단지 재건축 자문 등을 수행하며 정비조합, 재개발, 재건축 분야에서 다수의 프로젝트를 담당한 부동산 건설 분야 전문가입니다.

이번 기사는 성원대치2단지 정비조합의 해산 과정에서 발생한 180억 원 채무 문제를 다뤘고, 김철웅 변호사가 이와 관련된 주요 법적 이슈를 분석하고 해결의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

2. 성원대치2단지 정비사업조합, 180억 원 채무 부담 논란

성원대치2단지 정비사업조합은 2008년 리모델링 조합으로 출범해 수직증축 리모델링을 추진했습니다. 하지만 법적·기술적 한계로 인해 수평증축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2016년 DL이앤씨·HDC현대산업개발과 계약을 체결하며 사업비 대출을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사업 지연과 계약 해지로 인해 법적 분쟁이 발생했고, 2023년 대여금 반환 소송에서 건설사가 승소하면서 조합은 180억 원 규모의 채무를 부담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현재 조합 측은 조합원 1인당 약 801만 원의 청산금 부담을 고려하고 있지만, 조합원들과 조합 임원진 간의 법적 분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3. 슈가 변호사의 조언: 조합 해산과 법적 대응 방안

김철웅 변호사는 조합 해산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법적 대응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1) 형사 책임을 통한 자산 처분 강제

조합 임원진이 연대보증을 부담하는 상황에서 채무 회피를 시도할 경우, 형사 책임을 물어 자산 처분을 강제할 수 있습니다.

(2)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구성

조합 해산과 별개로 조합원들이 비대위를 조직하여 법적 대응을 진행하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김 변호사는 “조합 해산 절차가 마무리되기 전에 법적 리스크를 점검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슈가스퀘어의 관련 글 보러가기
👉 재건축 조합 파산 시 조합원의 책임 1. 임원의 연대보증과 구상권을 중심으로
👉 재건축 조합 파산 시 조합원의 책임 2. 조합원이 채무를 분담하지 않기로 한 경우

4. 정비조합 해산, 법적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

조합 해산 시 조합원이 채무를 부담해야 할까?
조합 임원진의 연대보증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이러한 문제들은 조합의 상황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어, 반드시 경험 많은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을 권합니다. 법무법인 슈가스퀘어는 정비조합·재개발·재건축 관련 법적 분쟁을 전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안해드리고 있습니다.

정비조합 관련 법적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지금 법무법인 슈가스퀘어에 문의하세요.

[상담문의]

Share article
블로그 구독을 위한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세요

법무법인 슈가스퀘어 공식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