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감자 등기 후 권리 보호: 주식 매수청구권과 결의 무효 소송
회사가 감자(자본감소)를 결정했을 때, 모든 주주가 이에 동의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무상감자의 경우, 주주에게 아무 대가 없이 주식 가치가 희석될 수 있어 반대하는 주주가 많습니다. 이때 반대 주주는 자신의 소중한 주주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상법이 보장하는 여러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감자(자본감소)의 양날의 검: 성공과 실패 사례로 보는 기업 구조조정 전략
👉감자(자본감소) 이후 주주·투자자 관계 관리 전략: 소통이 만드는 감자의 성공
1. 첫 번째 방어선: 주식 매수청구권 행사
주식 매수청구권은 회사의 중요한 결정에 반대하는 주주가 공정한 가격으로 자신의 주식을 회사에 되팔 수 있도록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 감자 등기는 주주의 권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 권리가 인정됩니다.
행사 요건: 감자에 대한 주주총회 특별결의 전, 서면으로 감자에 반대하는 의사를 통지해야 합니다. 주주총회에서 반대표를 던지거나, 참석하지 않아야 주식 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자격이 주어집니다.
행사 절차: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주식 종류와 수량을 기재하여 서면으로 회사에 주식 매수청구권을 행사해야 합니다.
매수가격 협상: 권리가 행사되면 회사와 주주는 매수가격을 협의하며,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법원에 매수가격 결정을 청구하여 공정한 가격을 확정할 수 있습니다.
주식 매수청구권은 주주가 불리한 감자(자본감소)로부터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2. 부당한 감자에 맞서는 최후의 수단: 주주총회 결의 무효 소송
감자 과정에서 법률 위반이나 절차상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 주주는 주주총회 결의 무효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주식을 되파는 것을 넘어, 감자 등기 자체를 무효화하여 주주 전체의 권리를 보호하는 강력한 방법입니다.
소송 제기 사유:
절차적 하자: 주주총회 소집 절차 위법, 결의 정족수 미달 등 형식적 문제
내용적 하자: 감자의 목적이 불순하거나 특정 주주에게 부당한 손실을 강요하는 등 공정성을 해치는 경우
소송의 효과: 법원이 주주총회 무효를 인정하면, 감자를 위한 결의는 처음부터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이로 인해 감자 등기 효력도 영향을 받아 등기를 정정하거나 말소해야 합니다.
주주총회 결의 무효 소송은 법률 전문가의 철저한 검토와 함께하시기를 권합니다.
3. 감자 등기, 법무법인 슈가스퀘어에 맡겨야 하는 이유
감자 등기와 같은 기업의 중요한 법률 행위는 주주 권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많은 주주들은 자신의 권리를 충분히 알지 못하거나, 복잡한 법적 절차 때문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법무법인 슈가스퀘어는 감자 등기를 비롯한 다양한 기업 법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주주의 권리 보호를 위한 전문적 법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감자 절차 적법성 검토: 주주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꼼꼼히 확인
주식 매수청구권 행사 대리: 불리한 감자에 대응하여 투자금 회수 지원
주주총회 결의 무효 소송 대리: 감자의 위법성을 다투어 주주 권리 보호
만약 감자 후 주주 권리가 침해될 위험이 있다면, 언제든 슈가스퀘어와 상담하세요. 소중한 주식과 권리를 지키는 든든한 법률 파트너가 되어드리겠습니다.
👉만약 내가 채권자라면? 회사의 감자 등기(자본감소)와 내 권리 지키는 방법
[상담문의]
Tel: 02-563-5877
카톡 '법무법인슈가스퀘어' 검색! 또는 카카오톡 상담링크
e-mail: help@sugar.legal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13길 7 백암아트센터별관 2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