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진출 기업을 위한 지식재산권(IP) 보호 전략 가이드

미국 진출을 계획한다면 특허, 상표권,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 보호 전략을 사전에 마련해야 합니다. 특허·상표·저작권 실사, 특허 출원, 소송 대응, 라이선싱 전략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했습니다.
미국 진출 기업을 위한 지식재산권(IP) 보호 전략 가이드

1. 미국 진출 전 필수 단계: IP Due Diligence

미국 시장은 세계 최대 규모와 혁신성을 자랑하지만, 동시에 지식재산권(IP) 분쟁이 가장 빈번한 곳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미국 진출 기업은 반드시 IP Due Diligence(지식재산권 실사)를 거쳐야 합니다. 이는 경쟁사의 특허, 상표권, 저작권을 조사하여 잠재적 분쟁 가능성을 사전에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 특허 리스크 분석: 경쟁사의 특허 포트폴리오를 검토해 우리 기술이 침해 소지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미국은 특허 침해 소송 배상액이 매우 높아, 사전 대비가 필수입니다.

  • 상표권 리스크 분석: 브랜드명과 로고가 이미 등록된 상표와 유사한지 USPTO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상표권 분쟁은 미국 진출 기업의 시장 진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저작권 리스크 분석 소프트웨어 코드, 디자인, 콘텐츠 등 저작권 침해 여부를 검토하고, 오픈소스 라이선스 조건까지 확인해야 합니다.

2. 미국 특허 출원 및 소송 대응 전략

(1) 미국 특허 출원과 관리

한국에서 등록한 특허는 미국에서 효력이 없습니다. 미국 특허청(USPTO)에 별도 출원이 필요합니다.

  • 출원 전략: PCT 출원 후 미국 진입 시점을 조율하면, 시장 진출과 지식재산권 보호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 특허 관리: 연차료 납부, 갱신 등 정기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관리 소홀 시 경쟁사에 기술을 빼앗길 위험이 있으므로, 미국 진출 기업은 체계적인 특허 관리 시스템을 갖춰야 합니다.

(2) 미국 IP 소송 대응 전략

미국에서 IP 소송은 기업 생존을 좌우합니다. 초기 대응과 전략적 판단이 필수입니다. 실제로 아래 기업들이 특허 분쟁으로 오랜 시간 부침을 겪었습니다.

  • 삼성전자 vs 애플: 스마트폰 디자인과 기술 특허 분쟁이 7년간 이어졌으며, 양사는 수억 달러대 손해배상과 합의를 주고받았습니다.

  • LG에너지솔루션 vs MRD: CNT 특허 소송에서 LG는 IPR(특허무효심판)으로 맞대응해 상대방 특허를 무력화했습니다.

소송 시에는 상대방 특허 무효 주장, 합의 및 라이선싱 협상 등 전략적 대응을 병행하고, 초기 단계부터 미국 현지 전문가와 협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미국 시장에서의 IP 라이선싱 전략

IP 라이선싱(지식재산권 사용 허가 계약)은 미국 시장 진입과 수익 창출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계약 검토: 로열티, 사용 범위, 계약 기간 등 핵심 조항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 라이선싱 유형:

    • 전용 실시권(Exclusive License): 특정 기업만 독점 사용

    • 통상 실시권(Non-exclusive License): 여러 기업이 동시에 사용 가능

    • 크로스 라이선싱(Cross-Licensing): 서로의 특허를 교차 활용

특히 스타트업의 경우, Non-exclusive(통상 실시권) 방식으로 여러 기업에 기술을 제공하여 빠르게 시장에 진입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술 개발에 집중하면서도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한편, 대기업은 수많은 특허로 인해 분쟁에 휘말릴 위험이 높습니다. 이때 Cross-Licensing(크로스 라이선싱)을 활용하면 서로의 IP를 교차로 사용해 소송 위험을 줄이고 기술 협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쟁사와의 불필요한 분쟁을 피하고, 각자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4. 확인하세요! 지식권 보호를 위한 체크리스트

라이선싱은 미국 시장 진출 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사업 기회를 확대하는 핵심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 미국 진출 전 특허·상표·저작권 Due Diligence (지식재산권 실사) 수행

  • USPTO를 통한 미국 특허 및 상표권 출원

  • 특허 연차료 관리 및 포트폴리오 체계화

  • IP 소송 대응 프로세스 사전 준비

  • IP 라이선싱을 통한 수익 창출 및 리스크 분산

법무법인 슈가스퀘어는 크로스보더전담 센터를 통해 미국 진출 기업의 IP 보호를 위한 독보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미국 각 지역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IP 및 데이터 분쟁을 선제적으로 진단하여 해결합니다.

기업의 핵심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원하신다면, 지금 바로 슈가스퀘어에 문의하세요. 철저한 IP Due Diligence, 전략적인 특허 출원과 관리, 신속한 소송 대응, 그리고 IP 라이선싱 전략으로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해 드리겠습니다.

[상담문의]

Share article
블로그 구독을 위한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세요

법무법인 슈가스퀘어 공식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