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사업의 시작! 법인 주소, 이렇게 선택하고 이렇게 변경하세요
1. 법인 주소, 어디로 할까?
법인 주소로 선택할 수 있는 주요 옵션은 자택 주소, 비상주 사무실, 일반 임대 사무실 세 가지입니다. 각각 장단점이 뚜렷하므로 사업 특성과 예산, 대외 신뢰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해야 합니다.
구분 | 자택 주소 | 비상주 사무실 | 일반 임대 사무실 |
---|---|---|---|
초기 비용과 고정 비용 | 비용 부담이 가장 적음 | 저렴한 비용 | 가장 큼 |
사업자등록 가능성 | 업종 제한 많음! *별도 시설, 인허가 필요한 업종은 대부분 불가. 세무서를 통해 미리 확인해야 함 | 대부분 가능 | |
업무 공간 | 미팅, 투자 실사 등에 불리 | 있음 | |
대외 신뢰도 | B2B, 투자유치에 불리할 수 있음 | 대출 심사나 정부 지원 사업 심사시 불리할 수 있음 | 안정적이고 신뢰감 있는 이미지를 만들 수 있음 |
주요 업종 | IT, 컨설팅, 상거래, 디자인 등 | 온라인커머스, 디자인, 무역업 등 | 사무 공간이 필요한 모든 업종 |
자택 또는 비상주 사무실을 사용할 경우, 과밀억제권역 세금 이슈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관련 내용은 슈가스퀘어의 이 글을 확인해 주세요.
👉과밀억제권역과 세금에 대해 알아보기
2. 법인이 이사했다면? 변경 등기 필수
법인이 본점이나 지점을 이전하면, 2주 이내에 법원에 주소 변경 등기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관할 구청에 등록면허세를 납부하고, 세무서에 사업자등록 정정 신고도 진행해야 합니다.
또 4대 보험 기관, 은행, 거래처, 홈페이지 등에도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주소 오류로 인한 불이익을 방지하세요.
특히 관외로 이전할 경우, 정관 변경과 주주총회 결의도 필요한 것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3. 대표이사가 이사했을 때도 변경등기 필수!
대표이사의 주소도 등기부등본에 기재되는 주요 사항입니다. 대표이사가 이사했다면, 본점은 2주 이내, 지점은 3주 이내 변경등기를 해야 합니다. 기한을 놓치면 대표 개인에게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미납시 가산금이 붙어 재산 압류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변경등기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회사 변경등기 신청서
대표이사 신분증
대표이사 주민등록등본 또는 초본
등록면허세 영수필 확인서
(대리 신청 시) 위임장, 대표이사 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본점과 지점 모두 있는 경우, 각각 별도로 변경등기를 해야 하니 빠짐없이 준비해야 합니다.
4. 법인 등기도 슈가스퀘어에 맡기세요
법인 주소 변경이나 대표이사 주소 변경은 자칫 놓치기 쉽고, 실수할 경우 과태료 등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어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권합니다.
법무법인 슈가스퀘어는 법인 설립, 사업자등록, 변경등기, 세무 컨설팅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사업에만 집중하세요! 나머지는 슈가스퀘어가 맡아 하겠습니다.
[상담문의]
Tel: 02-563-5877
H.P: 010-2931-5873
카톡 '법무법인슈가스퀘어' 검색 또는 카카오톡 상담링크
e-mail: help@sugar.legal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13길 7 백암아트센터별관 2층